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0

망막의 특징 안구는 크게 외막과 중막과 내막으로 나뉘는데 그 가운데에서 가장 안쪽에 있는 막이 내막이며 이곳에 해당하는 것이 맥락막 안쪽에 있는 망막이고 망막은 여러 세포가 있어서 빛을 느낄 수 있고 시각적인 정보를 뇌로 전달해 주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망막은 뒷부분에서 더 두꺼운데 두께는 후극부에서 0.23밀리미터이고 톱니둘레에서는 0.1밀리미터이다. 망막의 구조 망막은 투명한 신경조직인데 10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광선을 감지하는 광수용기세포와 신경세포가 존재하고 시신경 유두와 잘 붙어있고 망막의 10개 층은 색소 상피층과 광수용 세포층과 바깥 경계 막과 바깥 핵층과 바깥 얼기 층과 속 핵 층 그리고 속 얼기 층 그리고 신경 절 세포 층 그리고 신경 섬유층 그리고 속 경계 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장 먼.. 2022. 5. 19.
공막의 염증 공막은 다른 조직에 비해 혈관이 적은 편이고 앞쪽에는 각막이 존재하며 결막의 아래에 위치하고 안구를 감싸는 하얀색 부분이며 강하고 아주 질긴 편이고 신진대사가 많은 편은 아니기에 질환이 흔히 나타나지는 않고 눈을 움직이게 하는 6개의 근육이 붙어 있으며 다른 부위에 비해서 감염이 적은 편이고 눈의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탄력섬유와 교원섬유로 이루어져 있고 흔히 흰자위라고 부르며 신생아일 때는 푸른빛을 보이지만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누런빛을 보인다. 직근이 붙어있는 부분이 가장 얇고 시신경과 이어진 부근이 가장 두꺼우며 가장 얇은 곳의 두께는 약 0.3밀리미터이고 가장 두꺼운 곳의 두께는 약 1.0밀리미터이며 외부 충격에서 안구를 보호하며 황달이 있는 경우에는 노란빛으로 보인다. 공막염은 공막의 깊은.. 2022. 5. 18.
유전에 의한 각막 이상증 가족의 유전에 의하여 생겨나는 각막의 이상을 유전 각막 이상증이라 부르며 이것의 특성은 대게 양안에 나타나며 발병의 이유는 명확하지 않으나 유전성이 강하고 대게 젊은 층인 10~20대에서 많이 나타나고 살아있는 동안 천천히 전개되며 혼탁이 침범하는 위치가 상피 나 보우만 막이나 기질이나 내피로 모두 다를 수 있고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사람마다 제각각이며 시력 저하가 심한 경우에는 각막이식술을 진행하기도 한다. 유전에 의해 각막의 혼탁이 보우만 막 혹은 각막의 상피에 침투하는 질환에는 미스만 각막 이상증과 상피바닥 막 이상 증과 보우만 각막 이상 증이 있으며 상피 바닥 막 이상증은 코간 미세 낭포 상피 이상 증 혹은 지도 점 지문 모양 각막이상증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남자보다는 어른인 여자에게서 많이.. 2022. 5. 18.
안구의 기능과 구조 시각정보를 뇌에 전해주는 시각 기관인 눈은 몇몇 단계의 구조가 있는데 크게 눈알과 부속기관으로 이루어진다. 눈은 면상의 상측에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며 눈알이 들어있는 뼈의 앞부분에 위치하고 결합되는 조직과 지방에 둘러싸여 바깥으로부터 오는 충격에 보호를 받고 전면부만 공기에 노출이 되고 내용물은 내막과 중 막과 외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겉쪽에 있는 외막은 뒤쪽 5/6만큼 존재하는 하얀 공막과 앞쪽 1/6만큼 존재하는 투명성이 있는 각막으로 구성되며 포도막이라고도 불리는 중 막은 가운데 위치하고 있으며 외막의 안쪽에 있는 혈관성 조직으로 맥락 막과 홍채와 모양체로 구성 되어 있고 내막은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는 위치에 있고 눈알의 가장 내측에 있는 막으로 망막이라고 불리는데 이 망막은 시신경을 통해서 뇌와 .. 2022. 5.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