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망막의 특징

by 도꾸9 2022. 5. 19.
반응형

출처 pixabay

안구는 크게 외막과 중막과 내막으로 나뉘는데 그 가운데에서 가장 안쪽에 있는 막이 내막이며 이곳에 해당하는 것이 맥락막 안쪽에 있는 망막이고 망막은 여러 세포가 있어서 빛을 느낄 수 있고 시각적인 정보를 뇌로 전달해 주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망막은 뒷부분에서 더 두꺼운데 두께는 후극부에서 0.23밀리미터이고 톱니둘레에서는 0.1밀리미터이다.

 

망막의 구조

망막은 투명한 신경조직인데 10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광선을 감지하는 광수용기세포와 신경세포가 존재하고 시신경 유두와 잘 붙어있고 망막의 10개 층은 색소 상피층과 광수용 세포층과 바깥 경계 막과 바깥 핵층과 바깥 얼기 층과 속 핵 층 그리고 속 얼기 층 그리고 신경 절 세포 층 그리고 신경 섬유층 그리고 속 경계 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장 먼저 색소 상피층은 맥락막과 밀착되어 있는 부분인데 육각형 모양의 세포가 한 층으로 배열되어 있고 멜라닌이 높은 농도로 있어 망막에서 일어나는 광선의 반사를 막아주고 광수용 세포층과 접한 부분에 주로 모여 있고 망막의 가장 바깥쪽인 색소 상피 층은 홍채 뒷면까지 이어져 있고 바로 인접해 있는 광수용 세포층과 유착이 심하지는 않고 광수용 세포층은 막대 세포와 원뿔 세포라고 불리는 시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빛을 감지할 수 있는 부분이며 사람의 원뿔 세포는 약 600만 개이고 막대 세포는 약 1억 개 정도이고 막대 세포는 간상 세포라고도 불리는데 주로 어두운 빛을 느낄 수 있고 녹색의 단일 파장에서 반응이 높으며 길고 가늘게 생긴 모양이고 아주 민감하다. 막대 세포는 중심 오목 주변부에 많이 분포되어 있고 원뿔 세포보다 수가 훨씬 많으며 색각 감지 역할에는 큰 기여를 하지 않고 수평 세포가 막대 세포를 서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며 주로 낮에 합성되며 원뿔 세포는 원추 세포라고도 불리며 외절의 모양이 원뿔 모양과 비슷하고 밝은 빛을 감지하고 망막 중심와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개수는 150000개/제곱 밀리미터 정도이고 주변부에는 개수가 적어지는데 4500개/제곱밀리미터 정도이며 색을 인지할 수 있어서 사람의 시력과 색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주로 밤에 합성되고 3개의 시 색소가 있고 바깥 경계 막은 얼기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미세한 구멍이 많이 있고 시세포의 바깥 조각이 이곳을 지나가며 바깥 핵 층은 시세포 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깥 얼기 층은 뮐러 섬유와 가지 돌기와 여러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시력은 크게 중심시력과 주변시력으로 나뉘는데 중심시력은 중심 오목에서 보는 시력으로써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물을 볼 때 느껴지는 시력이라고 보면 되고 아주 민감하고 사물을 주시하고 모양이나 색상을 인지하는 역할을 하며 주변 시력은 주변 망막인 망막 부위에서 자극을 받았을 때 보이는 시력이며 공간에 관한 시각 정보를 담당하고 시선에서 벗어나면 시력이 저하되며 시력은 조명에 대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조명이 어두울 때는 물체에 색상이 있더라도 없는 것처럼 보일 수 있고 조명이 밝을 때는 색을 선명하게 볼 수 있으며 이것을 푸르키녜 현상이라고 하며 망막에 관련된 질병은 망막박리와 망막 색소 상피 염증과 감각 신경 망막 염증과 황반원공과 미숙아 망막병증과 당뇨망막병증과 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과 맥락막 신생혈관과 매독성 맥락망막염과 망막 종양과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과 황반 이상증과 망막 동정맥 폐쇄 등이 있으며 안저 검사와 혈관 조영술과 시력검사 등으로 검사를 할 수 있다.

 

황반

황반은 타원형 모양의 함몰이 있는 부분인데 시세포가 많이 모여 있어서 빛에 가장 민감한 부분이며 위치는 시신경유두의 주변에 있고 크기를 4밀리미터 정도이고 색각과 시각에 가장 자극이 민감한 부분이며 황반의 중앙에 패인 작은 지점을 중심 와 또는 중심 오목이라고 부르는데 직경이 0.5~0.6밀리미터 정도이고 이 부위에는 혈관이나 뮐러 세포가 없고 원추세포만 있고 막대 세포는 존재하지 않아서 시 자극을 가장 정확하고 선명하게 인지할 수 있고 황반은 얇은 편이고 크산토필이라는 색소가 있어서 갈색을 띠고 있으며 색소 상피층에서의 색소가 많이 있는 편이며 주변에는 황반 고리 반사가 있고 중심 오목에서는 점 모양 반사가 나타나고 정상적인 눈이라면 물체를 보았을 때 이곳에 상이 맺히게 되며 황반의 신경섬유는 시신경 유두로 이어지고 유두의 외측에 위치하며 시세포와 연결되고 신경섬유 중에서 1/3의 비율을 차지하며 중심 오목에는 망막 속층이 존재하지 않으며 황반과 관련된 질병에는 황반변성과 낭포 황반부종과 황반원공과 망막 앞 막과 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 등이 있고 증상으로는 사물이 휘어져 보이거나 시력 저하를 느낄 수 있다.

 

시신경 유두

시신경 유두는 생리적 맹점 또는 마리오트 맹점이라고 도 불리는데 이곳에는 광수용 세포가 없으며 시신경섬유로 구성되고 맥락막과 사상판과 붙어 있으며 시신경이 뇌로 가는 지점이고 관련된 질병으로는 시신경 위축과 울혈 유두 등이 있고 시신경 유두 비가 높으면 녹내장을 의심할 수 있고 안압에 의하여 시신경 유두에 이상이 올 수 있고 망막의 대사는 감각신경망막의 안쪽에 있는 층은 망막혈관에서 산소와 포도당을 받으며 망막색소상피와 광수용 세포는 맥락막 모세혈관에서 영양을 받고 이 두 역할이 잘 수행되어야 망막의 기능이 잘 이루어지며 망막은 다른 부위에 비해서 산소의 이용률이 높으며 산소는 삼카르복실산회로에 사용이 된다.

 

톱니 둘레는 망막의 끝부분인데 모양이 톱니 형태와 흡사하며 망막은 톱니 둘레에서 섬모체 상피가 되고 이것은 홍채의 뒷부분까지 이어지며 시세포는 존재하지 않는다.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야  (0) 2022.05.20
세균 결막염과 바이러스 결막염  (0) 2022.05.19
공막의 염증  (0) 2022.05.18
유전에 의한 각막 이상증  (0) 2022.05.18
안구의 기능과 구조  (0) 2022.05.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