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녹내장의 진단 방법

by 도꾸9 2022. 6. 20.
반응형

출처 pixabay

녹내장은 조기에 빨리 발견하여 치료를 진행할수록 안구 기능의 손실을 줄일 수 있기에 초반에 진단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안과 검사를 진행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결과가 있는 경우에는 녹내장을 의심할 수 있는데 안압이 21mmHg 보다 높거나 안압이 높지 않아도 양안의 안압 차이가 5mmHg 보다 크거나 유두함몰 비가 0.6 이상이거나 양안의 유두함몰 비의 차이가 0.2보다 높거나 가족 중에 녹내장 이력이 있거나 급성 녹내장의 증상이 있을 때 유의해야 한다.

정상적인 안압의 범위는 10~21mmHg이며 평균적으로 15mmHg이고 양안의 차는 3mmHg 보다 적으며 갓 태어난 아기의 안압 평균은 10.27mmHg이고 연령이 높을수록 높아진다. 안압측정에 이용되는 안압계는 측정하는 근본에 따라 압 평과 비접촉과 함입으로 구별하며 쉬외츠 안압계는 함입 안압계이고 이것은 안압의 오차가 많은 편이며 개인의 시간과 안압의 고저에 따라 달라지며 고도근시나 어린아이는 낮으며 골드만 압 평 안압계는 제일 정확한 편이며 비접촉 안압계는 접촉이 없어서 소독을 안 해도 되는 편리함이 있고 의사 외의 사람도 조작이 가능하지만 정확성은 낮은 편이다.

시신경 유두 검사에는 검안경 검사가 있는데 녹내장성 시신경 유두함몰은 위아래 방향으로 증가하며 유두의 아래와 위 혹은 귀 아래편이 먼저 침범당하며 대게 녹내장성으로 시야에 문제가 생기는 비에룸영역과 코 쪽 근처 시야에 합당하는 신경 섬유가 이 지점으로 모이며 시야의 변동이 생기기 전에 녹내장성 시신경 유두함몰을 초반에 찾아내는 것이 아주 중요하며 같은 경선에서 유두함몰 부위의 직경과 유두 직경의 비율로 유두 함몰의 규모를 표현하는데 이것을 C/D비라고 하며 한국인의 정상적인 C/D 비는 0.6보다 낮으며 양안의 C/D비 차는 0.2보다 낮다. 녹내장으로 인한 시신경 유두함몰이 존재할 때는 유두함몰과 시신경 유두 주변 사이에 있는 핑크색 신경 테가 점점 없어지면서 함몰이 증가하고 깊어지며 함몰 가장자리가 급하게 경사를 보이며 망막의 혈관이 코 방향으로 밀리고 함몰 주변에서 우선 분리되어 관찰되다가 다시 보이며 유두함몰 주변 신경 테에서 파인 것이 보이면 이 지점의 신경섬유가 파손되었다 보고 그 지점에 시야결손이 생긴다. 함몰 부분의 밑면에서는 회색 체 형태 반점이 또렷하게 관찰되며 유두 주변의 맥락막은 줄어들어 유두 주변의 일부 혹은 전체 둘레에 유두 주위 위축이 생기며 시신경 섬유를 따라 시신경 유두 주변에 걸친 선상 출혈은 정상인에 비해 녹내장이 있는 사람에게 더 잘 관찰되므로 녹내장 진단에 영향을 준다. 녹내장으로 인한 유두함몰은 C/D비가 0.6이 넘고 C/D비의 양안 차이가 0.2보다 높고 수직 난원형 함몰이 있고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유두 주변의 위축이 보이고 시신경 테 파임과 시신경 유두의 출혈이 관찰될 때를 말하며 녹내장이 오랫동안 진행되면 시신경이 쭈그러들어 허옇게 보이며 시신경 위축에 나타나는 기전은 확실하지 않지만 혈관 허혈성 가설과 기계성 가설 등과 연관된다. 

영상분석은 동일 초점 생체 현미경을 이용해 망막의 겉면과 시신경 유두에 관한 삼차원적인 검토를 통하여 시신경 유두의 넓이와 함몰의 용적과 면적과 망막 신경 섬유층의 두꺼운 정도 등을 알 수 있으므로 시일에 따른 작은 변화를 관찰하는데 좋은 방법이고 녹내장의 변동은 시신경 유두와 시신경 유두로 가는 구심성 망막 신경 섬유층에도 관찰되며 이것을 알기 위해서 청색 필터와 흑백 필름을 사용한 망막 신경 섬유층 사진이 용이하며 최근에는 빛 간섭 단층 촬영법이 사용된다.

시야를 측정하는 것은 녹내장의 예후와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지표가 되는 검사이며 녹내장일 것 같을 때에는 항상 시야검사를 진행해야 하며 시야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동적 시야 측정과 정적 시야 측정이 있으며 시야계에는 골드만 시야계와 평면 시야계와 험프리 시야계와 튀빙거 시야계와 옥토퍼스 시야계 등이 있으며 이것은 녹내장은 당연하고 그 외의 신경계 질병의 시야 변화도 검사가 가능하며 녹내장으로 인한 시야 결손은 시신경 유두의 파손으로 인해 생기며 시신경 유두로 연결되는 시신경 섬유의 움직임이 규칙적이므로 주행 방향에 따라 특성 있는 시야 손실이 보이며 시신경 유두에서 제일 우선 손상되는 부분은 위쪽과 아래쪽이며 이 지점으로 들어오는 시신경 섬유들에 부합하는 주시점 주위 시야 결손과 코 방향 시야 결손이 초반의 시야 결손이다. 개방각 녹내장은 대게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시야의 변화가 아주 중요하며 주변에서부터 시야의 결손이 보이며 점차 주시점 쪽으로 움직이다가 후반에는 중심시력만 존재하는 관 모양 시야가 된다.

녹내장성 시야 변화에는 중심 부근 암점과 코 쪽 계단과 활 모양 암점과 부채꼴 시야 결손이 있다.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쇄각 녹내장  (1) 2022.06.24
개방각 녹내장  (0) 2022.06.20
망막의 선천이상  (2) 2022.06.17
후천적인 황반부 질환  (0) 2022.06.13
포도막의 변성과 종양  (0) 2022.06.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