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망막염과 망막 박리

by 도꾸9 2022. 6. 1.
반응형

출처 pixabay

망막은 상을 인지하고 뇌로 전달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곳이고 10층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구조의 조직이며 수많은 세포들이 존재한다.

 

감각 신경 망막 염증

여러 종류의 진균이나 세균이 망막에 다다라서 망막에 염증을 생기게 할 수 있으며 유리체나 방수나 피를 통하여 원인이 되는 균을 찾아내고 적합한 치료를 진행하면 대게 시력을 더 나빠지지 않게 할 수 있으며 세균 망막염은 세균이 몸의 어느 부분의 병터에서 망막으로 이동되어 망막에 염증을 발생할 수 있으며 검사를 하면 망막에 출혈이 관찰되거나 면화반이 보이거나 혈관 집이 만들어져 있거나 망막에 부종이 있는 등의 소견을 보이며 진균 망막염의 제일 빈번한 종류는 칸디다균에 의한 것이고 오랫동안 항생제를 사용하거나 면역이 떨어져 있는 사람에게 잘 나타나고 유리체 절제술을 하는 것이 치료에 효과가 있는 편이고 급성 망막 괴사는 망막 가장자리에서 시발점이 되어 뒤쪽으로 전개하며 대상포진바이러스나 단순포진바이러스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며 급성 망막 괴사는 치료를 늦추면 괴사가 빠르게 주변 망막으로 전개되고 병변이 어느 한 부분으로 퍼지고 망막 세동맥의 막힘으로 혈관염이 보이고 유리체와 앞방에 염이 보이며 망막박리나 허혈 시신경병증이 생긴 후에 나타날 수 있고 보통 한 안구에서 발생되지만 몇 주 후에 다른 쪽 안구도 발병하며 아시클로비어와 스테로이드제를 같이 사용하여 치료하며 경과는 좋지 않은 편이고 망막박리가 생길 가능성이 많으므로 미리 예방하는 시술을 하기도 하며 거대세포 바이러스 망막 맥락막염은 면역이 좋지 않은 에이즈 환자 등에서 많이 나타날 수 있고 망막의 가장자리에서 점점 전개되는 점 형태의 출혈 혹은 과립형 혼탁으로 개시하여 점차 전개되면서 흰색의 구획이 또렷한 지도 형태의 혼탁이 나타나며 치료는 발간시클로비어나 간시클로비어 등을 투여하고 재발이 잘 되는 편이다.

 

망막 색소 상피 염증

풍진 망막염은 임신한 지 3달 안에 산모가 풍진 바이러스에 침투되면 출산한 아기에게서 작은 안구증이나 선천 백내장이나 망막염이 나타날 수 있으며 망막에 있는 색소상피가 대게 침투되며 멜라닌 색소가 산재되는 것이 관찰되고 색소가 침착된 부분이 나타나며 색소상피가 넓게 손상된 것을 볼 수 있으며 급성 망막색소상피염은 남자에게서 잘 나타나고 대게 양안에 다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망막 가운데 부분의 색소 상피층에 검은색 반점이 누런색의 고리로 감싸져 있는 것이 보이며 급성으로 나타나고 자연적으로 고쳐진다.

 

망막 박리

망막 열공은 유리체와 망막이 붙어있는 부분에 유리체의 견인에 의해 망막이 찢어지면서 나타나고 열공의 형태는 다양하며 혈관이 있는 부분에 열공이 나타나면 혈관이 손상되어 유리체에 출혈이 나타날 수 있고 출혈이 심하면 유리체가 흐려져서 시력이 많이 떨어질 수 있으며 열공 망막박리는 근시가 심하거나 외상을 입거나 망막 주변이 변질되는 등의 이유로 생기고 유리체가 변질되어 흐물거리게 된 유리체가 열공 부위로 들어가면서 망막이 박리되는데 초반에는 열공된 주변의 망막이 떨어지고 진행속도는 빠른 편이고 시간이 지나면 점점 망막이 전부 박리되며 간혹 일부분 박리된 것이 오랫동안 유지되기도 하며 열공과는 관계없이 비 열공 망막박리도 있으며 이것은 당뇨망막병증이나 눈알 천공이나 망막혈관염 등에 의해 나타나거나 포도막염이나 종양이나 삼출 망막염 등에 의해 나타나기도 하고 증상은 광시증이 나타나거나 유리체에 있는 부유물로 인해 뭔가 떠다니는 것이 보일 수 있고 유리체 출혈에 의해 시력에 문제가 나타날 수 있으며 보통 박리는 망막의 가운데보단 주변에서 먼저 나타나므로 시야의 손해도 주변부에서 먼저 나타나고 박리된 부분이 커질수록 시야의 문제가 점점 넓어져 검은 커튼을 친 것과 비슷하게 보이며 황반에 박리가 생기면 시력장애가 아주 심해지고 색각에도 문제가 생기며 안저를 보았을 때 망막에 주름살이 보이고 회색으로 보이며 박리가 오랫동안 있으면 구획선이 나타나며 안압이 낮은 경향을 보인다. 치료는 열공 망막박리는 수술을 진행해야 하며 열공된 부분을 모두 찾아내서 열공 주변의 망막을 색소상피에 붙여 오래도록 붙도록 해야 하고 가스 망막 유착 술이나 유리체 절제술 등을 시행하고 맥락막과 망막이 붙으면 열공 주변이 잘 붙게 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염증이 생기게 하며 속발 망막박리인 상황에는 원인이 되는 요소부터 없애고 견인 망막박리는 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하며 비 열공 망막박리와 열공 망막박리를 구별하려면 골드만 삼 면경 렌즈와 도상 혹은 직상 검안경 검사를 사용하여 꼼꼼하게 확인해야 하며 망막박리가 오랫동안 있으며 녹내장이나 백내장이나 안구 내 출혈이 동반되며 안구가 작아지기도 한다.

 

비 열공 망막박리는 원인이 되는 질환이 있으며 삼출 망막박리는 박리가 있는 망막 면이 곧게 펴져있고 뒷부분이 더 박리가 잘 되는 경향이 있다.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알의 부속 기관  (2) 2022.06.03
안구의 내용물  (0) 2022.06.02
눈꺼풀 구조 이상  (0) 2022.05.31
고혈압 망막 병증과 당뇨 망막 병증  (0) 2022.05.30
각막 질환  (0) 2022.05.2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