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눈알의 부속 기관

by 도꾸9 2022. 6. 3.
반응형

출처 pixabay

눈의 기능을 제대로 실행하고 보호하기 위한 다른 부속기관들이 존재한다.

 

안구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단단한 무언가가 필요하다. 그 역할을 안와 또는 눈확이 담당하며 머리뼈에서 빈 공간인 안와 안에 눈알이 들어가게 된다. 안와란 안구가 들어 있는 뼈이고 위치는 코의 양쪽에 있으며 뒤쪽은 면이 3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면을 기초로 한 위아래와 안과 밖의 4개의 면을 가진 피라미드 모양새이고 안와를 형성하는 뼈는 광대뼈와 이마 뼈와 눈물 뼈와 위턱 뼈와 벌집 뼈와 나비 뼈와 입천장 뼈 등 7개이고 각각의 안와의 바깥쪽과 안쪽의 벽은 45도 각도를 이루고 있고 양쪽 안와의 내측에 있는 벽은 서로 평행하므로 두 바깥쪽의 벽은 직각을 이루고 있다. 안와의 가장자리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눈을 지켜주는 역할을 하는데 광대뼈 돌출부와 이마 뼈를 따라서 점점 두꺼워지기 때문이고 안와의 앞면의 둘레를 안와 가장자리라고 부르는데 지름은 내측에 있는 뼈의 지름보다 다소 짧으며 뒷면으로 갈수록 벽이 점점 얄브스름해지고 코 안과 나비 굴과 벌집 굴과 접촉하게 되며 내측의 벽에는 눈물 주머니가 들어있는 눈물주머니 오목이 있고 코와 이어지는 코 눈물관이 이어져 있으며 중증 코 곁 굴 염은 눈뼈의 내측 벽을 통과하여 안와 연 조직 염을 일으키는 농양을 만들기도 한다. 부피는 약 30밀리미터이고 안쪽에는 나비 굴과 벌집 굴이 있고 밑에는 위 턱 굴이 있고 위에는 이마 굴이 있고 주변에는 코 곁 굴들이 닿아 있으며 위 눈꺼풀을 통하여 뾰족한 물건에 의해 외상을 입는 경우가 있고 그로 인하여 뇌막염 등의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것은 안와의 위벽이 후면으로 약 45도의 각도로 점점 내려가며 다른 뼈에 비해 얇기 때문에 그만큼 위험 노출이 있고 위벽의 외측에는 눈물샘이 들어있는 눈물샘 오목이 존재한다. 아래 안와 벽은 벽이 얇아서 안구의 외상에 의해 골절이 일어날 위험이 있는데 파열 골절이 일어나면 안구가 상측으로 움직이기 힘들어서 수직 복시가 발생하며 방사선 촬영 검사를 실시해 보면 위턱 굴에서 혈관 밖으로 피가 나와서 공기 액체 수평선이 발견되며 바깥벽은 안와 중에서 가장 두꺼운 뼈이기 때문에 수술을 할 때 통로로 사용된다.

 

안와의 내용물

눈 뼈 내부에는 부피의 1/5을 점유하는 안구와 골막과 테논낭과 눈물 주머니와 눈물샘과 신경과 혈관과 외안근과 결합 조직 등 많은 것들이 있으며 테논낭이란 안구의 주변을 감싸는 섬유막이며 앞쪽으로는 시신경 집과 공막에 붙어있고 각막 가장자리에서 2밀리미터 떨어진 지점까지 이르고 뒤쪽으로는 시신경의 공막 부착 부에 다다르고 안와 사이 막의 역할은 안와의 내용물을 지키는 보호막의 역할을 하고 안와의 앞쪽 구획을 이루고 안와 가장자리의 골막에서부터 아래 눈꺼풀과 위 눈꺼풀의 눈꺼풀 판까지 늘어져 있는 두껍지 않은 막이다.

 

안와의 개구부

시신경 구멍은 직경이 약 6밀리미터 정도로 되어 있고 시 신경 관이 두개강으로 이어지며 모양은 마치 계란과 비슷한 모양이며 위치는 안와 꼭지에 있고 교감 섬유와 눈 동맥과 시신경이 이 지점을 지나가며 아래 안와 틈새는 삼차신경의 제2가지인 아래 안와 정맥과 아래 눈 정맥과 위턱 신경이 통과하며 위치는 아래 벽과 바깥벽의 사이에 존재하며 위 안와 틈새는 안와 꼭지와 인접한 바깥벽과 위벽의 사이에 있으며 위 안와 틈새는 위 눈 정맥과 섬모체 신경절의 교감 신경지와 삼차신경의 눈 신경과 눈 돌림 신경과 가 돌림 신경과 도르래 신경 등이 이 지점을 지나가며 위치는 나비 뼈의 큰 날개와 작은 날개의 중간 정도에 있다.

 

눈꺼풀

눈꺼풀의 구성은 피부 층과 눈꺼풀판과 결막과 근육 층으로 총 4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역할은 안구로 투과되는 빛의 양을 단절시키거나 억제하고 외부의 충격이나 손상으로부터 안구를 보호하며 안구의 겉면 위로 눈물을 퍼지게 하는 일을 하며 눈꺼풀의 피부는 사람 몸의 피부 중에서 가장 약하고 조직이 단단하지 못하기에 어렵지 않게 부어오를 수 있고 회복도 빠르게 이루어진다. 눈꺼풀 틈새란 눈을 떴을 때 위 눈꺼풀과 아래 눈꺼풀 사이에 긴 원형의 공간이 생기는 것을 말하며 눈꺼풀 틈새의 바깥쪽은 가쪽 눈구석이라 부르고 안쪽은 안쪽 눈구석이라 부르며 눈꺼풀 틈새를 형성하는 위 눈꺼풀과 아래 눈꺼풀의 가장자리는 눈꺼풀 테라고 부르며 위 눈꺼풀은 눈썹을 기준으로 나뉘게 되고 아래 눈꺼풀은 확실한 기준이 없다. 위쪽과 아래쪽의 눈꺼풀은 눈꺼풀 판 부와 안와부로 나뉘게 되며 아래 눈꺼풀에는 위 눈꺼풀과 달리 깊은 주름은 존재하기 않고 위 눈꺼풀에 있는 주름은 주로 서양인에게 분명하게 나타나면 편이고 동양인에게는 없는 상황이 많다.

눈물 점의 위치는 안쪽 눈구석에서 약 5밀리미터 떨어져 있는 눈꺼풀 테가 살짝 돌출되어 있는 지점에 있으며 눈꺼풀 테의 총체적으로 걸쳐있는 회백색의 라인이 있는데 이 선을 따라 갈라서 벌리면 눈꺼풀을 결막과 눈꺼풀 판으로 형성된 내측의 층과 눈 둘레 근과 피부로 형성되어 있는 외측의 층으로 손쉽게 나눌 수 있기에 눈꺼풀 수술을 할 때 긴요한 부분이고 이 선의 뒷부분에는 눈꺼풀 판 샘의 배수구가 있고 앞부분에는 속눈썹이 자라 있다. 근육에는 뮐러근과 눈꺼풀 올림 근과 눈 둘레 근 등이 존재하며 뮐러근은 눈꺼풀 올림 근의 근섬유가 종결되는 지점에서부터 눈꺼풀 판의 상측에 붙는 근육이고 교감신경의 관여를 받고 결막과 끈끈하게 붙어있고 눈 둘레 근은 앞 눈꺼풀 판 부와 앞 사이 막 부로 나누어지고 수축하면 눈물이 코 눈물관으로 들어가고 눈을 떴을 때는 눈물이 나오게 되며 얇은 수의근으로 동심성 근섬유이며 안쪽 눈꺼풀 인대에서부터 가장자리 쪽 눈꺼풀 인대까지 이어지며 눈 둘레 근은 정상적인 눈물의 배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수축을 할 때 눈물 주머니가 커지게 되어 일부분이 음압을 형성해 눈물이 빨아들여지고 눈의 깜박임에 의해 눈물 점을 코 쪽으로 가게 하며 눈물을 눈물 주머니 쪽으로 가게 하며 눈물이 나오게 조절하는 것은 부교감신경이다.

 

눈꺼풀 판에는 여러 눈꺼풀 샘과 마이봄샘이 있으며 마이봄샘은 피지 샘이고 눈꺼풀 판에 수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위쪽과 아래쪽 눈꺼풀 판에 각각 20~30개 정도 분포하며 모낭과는 이어져 있지 않지만 짜이스 샘은 모낭과 이어져 있고 그 외의 눈꺼풀 샘에는 덧 눈물샘과 몰 샘과 크라우제 샘과 볼프링 샘이 존재하고 크라우제 샘과 볼프링 샘에서 나오는 눈물 덕분에 항상 촉촉함을 유지할 수 있고 덧 눈물샘은 눈물샘 용적의 10퍼센트 정도를 점유한다.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의 생리적 기능  (0) 2022.06.05
각막에 생기는 질병  (0) 2022.06.04
안구의 내용물  (0) 2022.06.02
망막염과 망막 박리  (0) 2022.06.01
눈꺼풀 구조 이상  (0) 2022.05.3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