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구의 내용물에는 크게 수정체와 방수와 유리체와 섬모체가 있다.
수정체
수정체의 위치는 홍채 뒤에 있으며 뒤에는 유리체가 있고 앞에는 방수가 있고 섬모체 소대로 이어져 있고 양쪽 면이 모두 볼록한 모양이고 색이 없고 투명하고 혈관이 없는 상태이고 굴절력은 약 20 디옵터이고 지름이 9밀리미터이며 두께는 4밀리미터 정도이다. 수정체 핵은 9 디옵터이고 수정체의 굴절력 변화폭은 14 디옵터이며 수정체 뒷면의 중심은 후 극이라 불리고 앞면의 중심은 전극이라 불리며 섬모체 소대가 부착되어 있는 곳은 뒷면과 앞면을 잇는 적도이며 수정체는 탄력성이 존재해서 조절이 가능한데 조절이란 섬모체 소대가 이완되고 섬모체근이 수축을 하면 형태가 뚱뚱하고 둥글게 되고 굴절력은 향상이 되는 것을 말하며 이는 가까운 물체를 볼 수 있게 하고 각막처럼 눈의 굴절 기관이고 수정체는 빛이 80퍼센트 정도 지나갈 수 있다. 수정체의 전체 굴절력이 높은 까닭은 두께와 외면의 굴곡도와 각층의 굴절률이 달라서 후에 만들어진 주변부의 굴절률은 낮고 가장 이전에 만들어진 수정체 중심부의 굴절률은 높기 때문이며 단백질 분자 사이에 만들어진 구조가 독특하다고 보며 수정체의 구조는 수정체 섬유와 앞 상피와 수정체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정체낭은 중심부가 얇고 뒷면이 앞면보다 얇으며 중심에 비해 주변부는 두껍고 전해질과 수분이 통과할 수 있는 반투과성 막이며 앞 상피는 수정체낭의 바로 아래에 존재하는 단층의 육면체 형태의 세포인데 수정체의 앞면에만 존재한다. 수정체 섬유가 만들어지는 곳은 적도 부이며 오래된 섬유의 겉면에 점점 쌓이게 되면서 여러 층을 만들고 핵은 중심부 섬유가 단단해지는 부분을 말하며 그 외에 단단하지 못하고 유연한 부분을 피질이라고 부르며 수정체는 몸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칼륨을 많이 가지고 있고 수분은 약 65퍼센트로 이루어져 있고 단백질은 약 35퍼센트로 이루어져 있고 수정체의 영양 공급은 유리체와 방수에서 이루어지며 신경과 혈관은 존재하지 않고 글루타티온과 아스코르브산이 환원 형태와 산화 형태로 존재하고 수정체 섬유는 절단면은 부드럽지 않은 오각형 모양이고 여러 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세포 사이에는 세포액이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세포액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수정체의 투명성에 관여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수정체 섬유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세극등 현미경에서 Y모양으로 보이는 봉합선이 이루어져 있는데 봉합선은 수정체의 뒷부분에서는 뒤집어진 Y모양으로 보이고 앞부분에서는 바른 Y모양으로 보인다. 사람이 나이가 들수록 수정체는 수분함량이 떨어지고 탄력성도 감소하며 산소 소모량이 감소하고 칼륨과 아스코르브산과 글루타티온의 함유량이 떨어지고 불용성 단백질인 알부미노이드는 많아지고 가용성 단백질인 크리스탈린은 줄어드는데 수정체가 투명해야 광선이 잘 투과가 되는데 단백질의 변성으로 인해 이 투명성이 떨어져서 혼탁해지는 것을 백내장이라고 하며 백내장은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나타나며 수정체는 노화가 진행함에 따라 점점 색상이 노랗게 변하고 이것으로 인해 망막에 맺히는 보라색과 파란색의 양이 줄어들며 이러한 증상은 트립토판에 의한 것으로 예상이 되고 노화가 진행될수록 고분자와 많은 칼슘을 가진 단백질이 생성이 되고 이 높은 분자량의 단백질 때문에 빛이 퍼지고 뿌옇게 보일 수 있고 70세 정도의 사람의 수정체에는 고분자 단백질이 수정체에서 약 10~15퍼센트를 점유하며 수정체와 관련된 질병에는 노안과 백내장 등이 있고 관련된 검사로는 세극등 현미경 검사 등이 있다. 수정체의 대표적인 질병인 백내장의 원인으로는 노화와 자외선 노출과 외상과 선천적인 요인과 후천적인 질병 등이 있다.
방수
방수는 깨끗하고 투명한 액체로 이루어져 있는데 섬유주와 각막의 뒷면과 수정체에 영양을 공급하며 뒷방으로 나간 방수는 각막이나 수정체의 지방산과 포도당과 아미노산의 흡수와 대사산물 배설과 같은 여러 요소의 이룸을 조정하고 안압을 적당하게 유지시켜 맥락막과 망막과 공막이 곱게 접촉할 수 있게 하고 각막이 기능에 맞게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며 방수의 용적은 약 0.2밀리미터이며 뒷방에 약 20퍼센트가 있고 앞방에 약 80퍼센트가 있으며 ph농도는 혈청보다는 낮고 삼투압은 혈청보다 조금 높은 편이며 투명한 액체 상태이고 배출이 되는 방법은 두 가지인데 보통 80퍼센트는 뒷방에서 동공을 지나 앞방으로 나간 후 쉴렘관과 섬유주를 지나서 배출이 되고 나머지 20퍼센트 정도는 섬모체를 지나서 공막과 포도막을 통해서 나가게 되는데 이것은 홍채 뿌리에 존재하는 섬모체근 사이의 지점을 통하여 맥락막 위 공간으로 배출이 되는 것이다. 방수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구의 압력이 올라갈 수 있고 그로 인해서 녹내장이 발병될 수 있으며 검사는 안압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섬모체 소대
섬모체 소대는 수정체의 조절에 관여하는 부위이며 섬모체 소대는 수정체낭의 바깥에 있는 층과 이어져 있으며 수정체의 적도부와 섬모체를 이어주는 섬유다발이며 섬모체와 섬모체 소대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수정체가 두께가 조절이 되어 근거리와 원거리의 인지가 가능해지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조절 능력이 떨어지게 되고 그것을 노안이라 부른다.
유리체
유리체는 둥글고 투명한 젤리와 비슷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유리체의 뒤쪽에는 시신경 유두와 망막이 접하고 있어서 이 조직들의 질병에는 유리체가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유리체는 혈관 조직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투명성을 가질 수 있고 영양공급은 망막과 맥락막과 섬모체에서 받고 유리체 안에 있는 액체는 망막 중심 혈관 주위의 조직이나 클로케관을 통해서 배출이 될 수 있으며 99퍼센트의 수분과 1퍼센트의 콜라겐으로 이루어져 있고 눈알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크며 안구의 중심에 위치하고 투명한 겔 형태이며 겉면은 질기고 투명성이 있는 유리체 막으로 둘러 쌓여있다.
유리체로 인해 안구의 형태와 모양을 유지할 수 있으며 관련된 질병에는 날파리증이라고 불리는 비문증과 유리체 출혈 등이 있고 관련 검사에는 세극등 현미경 검사와 안저 검사 등이 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막에 생기는 질병 (0) | 2022.06.04 |
---|---|
눈알의 부속 기관 (2) | 2022.06.03 |
망막염과 망막 박리 (0) | 2022.06.01 |
눈꺼풀 구조 이상 (0) | 2022.05.31 |
고혈압 망막 병증과 당뇨 망막 병증 (0) | 2022.05.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