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꺼풀의 구조와 생김새가 일반적이지 않고 선천적으로 또는 후천적 그리고 외상 등에 의하여 이상이 생길 수 있다. 눈꺼풀의 구조 이상은 눈꺼풀의 역할에 영향을 미쳐서 안구가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 것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눈꺼풀 처짐
선척적으로 있는 눈꺼풀 처짐은 출생 당시부터 있으며 보통 위 눈꺼풀 올림 근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고 눈 돌림 신경 윗가지의 문제로 나타나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외안근의 운동은 잘 되지만 위 곧은 근의 운동은 잘 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한쪽에는 쌍꺼풀이 존재하지만 눈꺼풀이 내려가 있는 눈에는 쌍꺼풀과 같은 주름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면 선천 눈꺼풀 처짐을 예상하며 출생할 때부터 양안이나 한 눈의 위쪽 눈꺼풀이 밑으로 내려가 있으며 쉽게 뜨지 못하고 일상 시에 이마를 써서 눈을 올려 뜨려는 습관 때문에 이마에 구김살이 있으며 머리는 올리고 다니기도 하며 선천 눈꺼풀 처짐은 여자보단 남자에게 더 잘 보이고 대부분 단순 눈꺼풀 처짐이다. 후천적인 눈꺼풀 처짐은 신경에 문제가 생기거나 위 눈꺼풀 올림 근의 문제로 생겨나며 눈꺼풀에 종양이 생겨도 나타날 수 있고 호르너 증후군이 있는 경우에는 위 눈꺼풀의 교감신경의 문제로 인해 약간의 눈꺼풀 처짐이 나타날 수 있고 호르터 증후군은 눈꺼풀이 처지고 동공 수축과 결막 충혈과 안압 하강 등의 증상을 보이고 동공 부동이 깜깜한 곳에서 더 과하게 보이면 예상할 수 있고 코카인을 넣어서 동공이 커지지 않으면 호르너 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다.
속눈썹 증
속눈썹 증이란 눈꺼풀에 붙어있는 속눈썹이 안구 방향으로 뻗어 자란 것을 말하며 이것 때문에 결막과 각막에 마찰과 자극이 생겨 상처가 생길 수 있고 그로 인해 이차 세균 감염의 가능성이 있으며 증상은 눈에 뭐가 들어간 것 같은 느낌이 나고 누액을 흘리기도 하며 눈이 시리고 햇빛을 보면 눈 뜨기가 힘들고 눈썹을 제거하면 잠깐은 괜찮아지지만 본지를 없애기 위해서는 전기분해나 냉동 시술이나 레이저 광 응고 술로 속눈썹의 근원을 없애버려서 눈썹이 또 자라나지 않게 해줘야 하고 안구의 방향으로 생성된 속눈썹의 개수가 굉장하다면 눈꺼풀 테를 교정하는 수술을 시행하여야 하며 두 줄 속눈썹은 마이봄샘의 입구에서 정상적이지 못하게 속눈썹이 자라나는 현상을 말하며 치료방법은 속눈썹 증과 동일하게 진행하며 속눈썹이 자라는 형태는 매우 얇고 세밀한 잔털에서부터 일반적인 속눈썹과 동일한 것까지 모습이 다양하다.
눈꺼풀 속 말림
눈꺼풀 테가 안구 방향으로 감겨 들어간 현상을 눈꺼풀 속 말림이라고 부르며 발병의 이유는 눈꺼풀 연축과 선천이상과 결막의 흉터와 노년에 의한 변화 등이 있으며 증상은 속눈썹이 안구를 자극하는 속눈썹 증처럼 결막의 충혈과 각막의 손상과 누액의 흐름과 눈부심이 있고 아래 눈꺼풀에 좀 더 잘 나타나지만 원인이 흉터에 의한 것이라면 위 눈꺼풀에도 발병하며 연축 눈꺼풀 속 말림은 눈 둘레 근이 작용하여 생기기도 하며 근본을 없애주면 치료에 도움이 되지만 그렇게 하기 힘든 상황에는 수술로 치료를 한다. 선천적으로 눈꺼풀 속 말림이 있는 경우는 아주 흔하지 않으며 눈꺼풀 모두 안구 방향으로 들어가 있으며 동양인의 어린이에게 흔히 관찰되는 덧눈꺼풀과 구분하여 판단하여야 하고 덧눈꺼풀은 속눈썹의 형태가 직립으로 되어있고 하방 주시를 할 때 속눈썹이 눈을 찌르지만 선천적인 눈꺼풀 속 말림은 눈꺼풀 테가 내측으로 들어가 있으므로 하방 주시를 하지 않더라도 늘 속눈썹이 각막에 닿아 자극을 주고 노년에 의한 눈꺼풀 속 말림은 인대와 눈꺼풀 판의 퇴행으로 생기고 근본적인 원인에 따라 눈꺼풀을 줄이고 퇴행한 아래 눈꺼풀 당김 기를 보강하는 수술을 한다.
피부 늘어짐
나이가 든 사람에게서 눈꺼풀의 살가죽이 탱탱하지 못하고 축 늘어져 위쪽의 눈꺼풀 피부가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피부 늘어짐이라 하고 눈꺼풀이 처진 것처럼 보이며 눈을 많이 가리게 되면 시력에도 영향을 끼치고 외적인 까닭과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는 늘어진 피부를 잘라내는 수술을 하고 눈꺼풀의 피부 외에 다른 부분에도 붓기가 생길 수 있고 그로 인하여 눈꺼풀이 쭈그러들어 쳐지는 것을 눈꺼풀 피부 늘어짐이라 부르며 젊은 인간에게서 간혹 보인다.
눈꺼풀 겉 말림
눈꺼풀이 겉으로 말리는 것은 속으로 말리는 것과는 다르게 눈꺼풀 테가 외측으로 뒤집어져 있어서 결막이 많이 드러나 있는 것을 말하며 아래 눈꺼풀의 겉 말림이 있는 경우에는 눈물점과 눈물 층이 서로 닿지 못하므로 코 눈물관으로 누액이 쉽게 나가지 못하여 누액이 계속 흐르게 되고 눈꺼풀이 겉으로 말리는 것의 이유는 얼굴 신경에 마비가 오거나 노화와 눈꺼풀 피부의 흉터와 외상 등으로 보며 이 증상이 심하다면 눈이 빨갛게 되는 토끼 눈 현상이 나타나서 각막궤양에 의해 시력을 잃을 가능성이 있고 안구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안연고를 주입해주고 결막 지짐 술과 눈꺼풀 단축과 눈꺼풀 봉합 등의 수술로 치료를 한다.
안쪽 눈구석 주름
안쪽 눈구석 주름은 눈의 안쪽 구석에 있는 부분에 위쪽 눈꺼풀에서 아래쪽 눈꺼풀에 연결되는 주름을 뜻하며 피부가 겹쳐진 것처럼 보이며 과한 경우에는 안구의 내측 흰자를 덮어서 마치 사시가 있는 것처럼 착각하는 거짓 내사시를 보일 수 있고 서양인보다는 동양인에게 주로 많이 관찰되고 어린이에서 성인이 되면서 점점 사라지는 경우도 많다.
토끼 눈이란 눈을 감으려 해도 끝까지 눈이 닫히지 않는 것을 말하며 안구의 한 부분이 항상 외부로 드러나 결막과 각막이 메마르고 주로 각막의 아랫부분이 손상이 되고 결막염이 발병되며 얼굴 신경마비 때문에 눈 둘레 근이 정지되거나 안와에 종양이 생겨 안구가 튀어나오거나 갑상 샘에 이상이 생기거나 눈꺼풀에 손상이 있거나 외상에 의해 생겨날 수 있고 노출 각막염을 방지하기 위해 증상이 과하지 않은 상황에는 수면 시 안연고를 주입하거나 테이프로 위 눈꺼풀과 아래 눈꺼풀을 한시적으로 붙여주고 콘택트렌즈나 인공 누액의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증상이 심해지면 위 눈꺼풀과 아래 눈꺼풀을 봉합하기도 하며 얼굴 신경마비에 의한 상황에는 위쪽 눈꺼풀에 추를 넣거나 스프링을 넣어서 눈을 감게 하는 방법도 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구의 내용물 (0) | 2022.06.02 |
---|---|
망막염과 망막 박리 (0) | 2022.06.01 |
고혈압 망막 병증과 당뇨 망막 병증 (0) | 2022.05.30 |
각막 질환 (0) | 2022.05.29 |
색각 이상과 색맹 (0) | 2022.05.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