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의 정상적인 세포나 조직에 대해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면역질환이 결막에서 생길 수도 있으며 즉시형 혹은 체액성 면역반응과 지연 과민반응이 있다.
봄철 각 결막염
봄과 여름에 주로 양안에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결막염이며 보통 10살 이전 혹은 사춘기 전에 나타나며 사춘기가 지나면 사라지는 경우가 많고 건조하고 더운 열대지방에서 주로 볼 수 있고 추운 지방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으며 여성보다는 남성에게서 더 많이 보이고 알레르기에 대하여 가족력이 있을 수 있고 천식이나 아토피나 습진 등이 같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각막에 궤양이나 미란이나 염증이 함께 생길 수 있고 증상은 심하게 간지럽고 끈적끈적하고 실과 비슷한 분비물이 배출되며 결막이 하얘지고 결막에 유두가 생기며 거짓 막 증상이 나타나고 각막에 흉이 남기도 하며 간혹 각막 표층에 염증이 생겨 혈관이 자라 들어가기도 한다. 치료는 스테로이드 제제를 전신적이나 국소로 주입하는데 이는 부작용으로 백내장이나 녹내장 등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사용 시 주의를 요하고 냉찜질도 효과적이고 증상이 오래갈 경우 사이클로스포린 면역억제제를 사용하기도 하며 서늘한 환경에서 일상을 보내는 것이 증상 호전에 도움을 준다.
계절성 알레르기 결막염
이것은 건초 열 결막염이라고 불리기도 하고 주로 풀이나 동물의 털이나 꽃가루나 진드기 등에 대한 알레르기로 인해 나타나는 즉시형 알레르기 반응이고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인후부의 염증이 동반되기도 하고 심하지 않은 결막염이 나타나거나 눈에만 증상이 보이는 경우도 있으며 갑작스레 눈이 간질거리고 눈물이 다량으로 흐르고 눈이 빨개지며 결막에 붓기가 생기고 끈적끈적하고 색이 없는 분비물이 나오며 전반적으로 통증이 있고 작열감과 유두 비대가 나타나며 치료는 원인이 되는 알레르기 항원을 제거해 주는 것이 가장 좋고 혈관 수축제를 주입하면 붓기가 덜 해지고 증상도 좋아지며 비만 세포 안정제나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 점안제를 투여하기도 하고 가려움이 심할 때는 냉찜질을 시행하며 먹는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졸리는 증상이 생길 수 있고 나이가 많아질수록 증상이 약해진다.
비계절성 알레르기 결막염
계절성 알레르기 결막염과는 달리 계절에 구애받지 않고 나타나며 하루 종일 증상이 보이고 알레르기 결막염에서 약 7퍼센트를 점유하고 천식이나 피부 알레르기나 알레르기성 비염 등과 함께 나타나는 상황이 많으며 주로 가족 중에서도 같은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원인은 보통 곰팡이나 동물 털이나 먼지나 진드기 등이 있고 증상은 간질거리고 눈물이 흐르고 붓기가 생기고 충혈이 생기고 붓기가 과하면 눈이 잘 안 떠지기도 하고 원인이 제거되면 증상이 사라지고 치료는 인공누액을 넣으면 증상이 나아지기도 하며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거나 증상이 심할 때는 비만 세포 안정제를 사용하며 가장 좋은 치료는 원인이 되는 항원을 제거하는 것이다.
플릭텐 각 결막염
영양상태가 나쁘거나 결핵이 있는 경우 결핵균에 의해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포도상 구균에 의해 발생하기도 하며 증상은 이물질이 들어간 느낌이 나고 눈물이 흐르고 눈이 부시며 각막 가장자리에 플릭텐이 형성되고 원형의 경계가 또렷하고 10~12일 내에 저절로 나아지며 각막의 가장자리에 플릭텐이 자주 나타나면 각막이 불투명해지고 흉터가 남을 수 있다. 원인균이 결핵균인 경우는 증상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고 포도상 구균 때문에 나타난 상황에는 증상이 약하며 급성 결막염이 있는 환자에게서 손쉽게 발병할 수 있고 치료는 원인이 되는 균에 대하여 치료를 하여야 하고 결핵균에 의해서 발병한 경우 스테로이드 제제를 사용하고 포도상 구균이 원인일 때는 항생제와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한다.
아토피 각 결막염
대부분 습진과 아토피 피부염이 같이 나타나며 여성보단 남성에게 많이 발병되고 청소년기부터 시작해서 중년층까지도 많이 나타나며 40대가 지나면 약해지는 경향이 있고 가족력으로 습진이나 천식이나 건초열 등이 있을 수 있고 백내장이나 원추각막이나 헤르페스 각막염이 많이 동반되고 원인은 확실하지 않고 증상은 끈적이는 분비물과 작열감과 눈부심 등이 있고 결막이 하얗게 되며 유두가 작게 보이고 증상이 심해지면 각막염이 나타나며 각막으로 혈관이 침범해 심하면 실명에 이르기도 하며 치료는 난해하지만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하는 것이 비교적 효과가 좋고 항히스타민제나 비만 세포 안정제를 사용하기도 하며 합병증의 예방에 주의하여야 한다.
거대 유두 결막염
비감염성 염증 질환이며 의안이나 콘택트렌즈나 백내장 수술 등에 의해 생길 수 있고 거대유두가 위쪽 결막에 생기는 것이며 거짓 눈꺼풀 처짐이 발생하기도 하며 연령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발생할 수 있고 콘택트렌즈를 쓰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을 그만두는 것을 권장한다. 대부분 하드렌즈보단 소프트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발견된다.
쇼그렌 증후군과 동반된 건성 각 결막염
쇼그렌 증후군에 의해 건성 각 결막염이 생길 수 있으며 눈물샘에 형질세포와 림프구가 침투되어 눈물샘의 구성이 망가져 건성 각 결막염이 생기며 남성보다는 폐경기의 여자에게 더 많이 나타나며 증상은 결막에 충혈이 보이고 자극감이 과하며 오전보다 오후에 아픔이 심하고 실과 비슷한 노폐물이 나오고 건조해지며 치료는 인공누액을 넣어주고 눈을 건조하지 않게 해주어야 한다.
점막 유사 물집 증은 치료가 어려운 편이며 결막에만 국한적으로 증상이 나타나거나 입이나 생식기나 코나 식도 등에서 나타나기도 하며 결막에 흉터가 생기고 결막의 모양이 작아지거나 없어지며 자극감과 시력에 문제가 나타나고 통증이 있고 눈물 분비 문제가 생기며 각막에 혼탁이 생기고 혈관이 자라 들어가며 실명에 다다르기도 하며 남자보다 여자에게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고 치료는 면역억제제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경과가 좋지 않아 시력을 잃게 되는 경우가 많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막 질환 (0) | 2022.05.29 |
---|---|
색각 이상과 색맹 (0) | 2022.05.29 |
눈 관련 특수 검사 (0) | 2022.05.27 |
유리체에 나타나는 질환 (0) | 2022.05.27 |
중막 또는 포도막의 구성 (0) | 2022.05.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