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강60 눈의 태생 수정란이 분할을 하고 여러 시기를 지나면서 성장하게 되는데 눈 또한 태생학적으로 발생과정이 있으며 표면 외배엽에서 각막 상피세포와 수정체와 결막 상피세포와 마이봄샘과 속눈썹과 짜이스 샘과 덧 눈물샘과 눈물샘과 눈물길의 상피세포 등이 만들어지며 신경 외배엽에서 망막 색소상피세포와 망막과 홍채 상피세포와 섬모체 상피세포와 시신경 섬유 등이 만들어지고 중배엽에서는 안와와 외안근과 안구의 혈관 내피세포가 생기게 된다. 안구의 각 부분별로 태생이 있다. 망막의 황반은 생후 6개월이 되면 중심 오목에서부터 가장자리로 신경 요소들이 움직이게 되어 오목한 형상이 만들어져 형태와 기능이 완성되고 주시가 가능해지며 태생 8개월 전까지는 두께가 망막의 다른 부위들과 흡사하고 태생 7개월에는 어른과 비슷한 형상을 가지게 된다.. 2022. 6. 7. 눈의 생리적 기능 사람이 사물을 보고 인지하기 위해서는 눈에서 여러 가지 기능을 필요로 한다. 빛이 굴절이 되고 수정체가 조절이 되고 일정한 안압도 필요하며 빛과 색각에 반응도 필요로 한다. 망막에 상이 맺히고 뇌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여러 기능이 필요하다. 망막에 상이 맺히기 위해서는 굴절이 필요한데 안구에서의 주된 굴절면은 각막의 앞면이며 각막은 약 43 디옵터 정도의 굴절력을 가지고 있고 안구로 들어가는 광선은 각막에서 한번 굴절이 된 후에 방수를 통과하고 한 번 더 수정체에서 굴절이 되며 수정체의 뒷면과 앞면은 모두 볼록한 형태이지만 수정체 앞면의 굴절력이 낮은데 그 이유는 양면이 모두 방수에 잠겨 있고 각막은 공기와 접촉해 있기 때문이다. 어린 사람 같은 경우에는 섬모체 소대와 수정체의 변화에 의한 눈의 조.. 2022. 6. 5. 각막에 생기는 질병 혈관이 없고 무색투명한 각막은 빛이 들어가는 곳으로 시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각막에 상처가 생기거나 흉터가 생기면 시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안구에서 가장 표면에 있는 만큼 질병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비타민A 결핍 각막궤양 비타민A가 모자람에 따라 함께 나타나는 비타민A 결핍 각막궤양은 납빛 색이며 각막의 가운데에 자리 잡으며 양안에 발병하고 아프지 않고 주변부의 각막에는 윤기가 사라지고 지각이 떨어지며 시력을 잃기도 하며 각막 연화 증으로 인해 각막이 약해지고 파괴되어 증상이 과할 때는 구멍이 뚫릴 수 있고 결막의 상피가 각질 화 되어서 각막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거품과 비슷한 양상의 점이 눈꺼풀 부분에 나타나는데 이것을 비토 반점이라 부르며 검사를 해보면 코리네박테륨제로시스가 추출되고 원.. 2022. 6. 4. 눈알의 부속 기관 눈의 기능을 제대로 실행하고 보호하기 위한 다른 부속기관들이 존재한다. 안구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단단한 무언가가 필요하다. 그 역할을 안와 또는 눈확이 담당하며 머리뼈에서 빈 공간인 안와 안에 눈알이 들어가게 된다. 안와란 안구가 들어 있는 뼈이고 위치는 코의 양쪽에 있으며 뒤쪽은 면이 3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면을 기초로 한 위아래와 안과 밖의 4개의 면을 가진 피라미드 모양새이고 안와를 형성하는 뼈는 광대뼈와 이마 뼈와 눈물 뼈와 위턱 뼈와 벌집 뼈와 나비 뼈와 입천장 뼈 등 7개이고 각각의 안와의 바깥쪽과 안쪽의 벽은 45도 각도를 이루고 있고 양쪽 안와의 내측에 있는 벽은 서로 평행하므로 두 바깥쪽의 벽은 직각을 이루고 있다. 안와의 가장자리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눈을 지켜주는 역할을 하는데 광대.. 2022. 6. 3.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