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60

유리체에 나타나는 질환 유리체는 안구에 들어있는 투명하고 젤리처럼 탄력이 있는 조직이며 안구의 형태를 유지해주고 충격을 흡수해주는 역할을 하며 부피는 대략 4밀리리터이고 근시가 아주 심한 사람은 10밀리리터인 사람도 있으며 유리체는 대부분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외에는 히알루론산과 아교 섬유로 구성되어 있어 투명하고 탄력을 유지시킬 수 있고 유리체는 망막과 가까이 붙어 있기에 서로 질병에 연관을 가지게 된다. 유리체에 질환이 생기면 불투명해져 뿌옇게 되고 혼탁이 과한 상황에는 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으며 혼탁이 경미한 상황에는 부유물에 의해 비문증이 나타나기도 하며 박리가 생기면 번쩍거려 보이는 광시증이 생길 수 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혹은 근시나 다른 조직의 감염으로 인하여 유리체가 액체의 형태로 변질될 수 있.. 2022. 5. 27.
중막 또는 포도막의 구성 안구 벽의 세 겹의 막 중에서 가운데에 있는 중 막은 흔히 포도막 또는 안구 혈관 막이라고 불리며 이것은 혈관이 많이 분포하고 많은 색소가 함유되어 있으며 구성은 맥락막과 섬모체와 홍채로 이루어져 있다. 홍채는 동공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편평한 구성으로 되어있고 섬모체의 앞쪽이 이어져 있는 것이고 포도막에서 가장 앞쪽에 위치한다. 홍채의 위치는 수정체와 각막 사이에 있는데 각막의 뒷면과 홍채 사이를 앞방이라 하고 수정체 앞면과 홍채 사이를 뒷방이라고 부르며 홍채의 역할은 가운데에 있는 구멍인 동공을 통해 안구로 들어가는 빛의 양을 조절하며 카메라로 비유하면 조리개와 비슷한 역할이며 홍채의 구성은 뒤쪽에서부터 뒤 상피층과 확대근과 기질과 앞 경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앞 경계층은 멜라닌 세포와 결합조직.. 2022. 5. 26.
안와 종양과 선천성 이상 우리 몸의 곳곳에는 종양이 생길 수 있다. 안와 종양은 안와가 있는 어디에서나 나타날 수 있고 몸의 다른 부위에 있던 종양이 안와로 전이되어 나타날 수 있다. 안와는 사이즈가 크진 않지만 많은 조직이 있으므로 가지각색의 종양이 나타날 수 있으며 대게 속발성 종양과 원발성 종양과 전이성 종양으로 종류를 나눌 수 있고 안와 종양이 생겨난 지점과 종류에 따라 병의 진행과 경과가 상이하게 나타나며 대부분 양성종양으로 나타나고 이것은 수술로 치료를 할 수 있으며 악성종양인 경우에는 다른 부분에 전이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병의 경과가 좋지 않은 편이며 방사선 치료와 약물치료를 같이 진행한다. 종양의 증상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증상은 어떤 종양인지 상관없이 유사하게 나타나며 그중 첫 번째는 안구 돌출이며 이것은 종양.. 2022. 5. 26.
진균 각막 궤양과 바이러스 각막 궤양 진균 각막 궤양은 주로 푸사륨에 의하여 발병이 되는데 이것은 땅에서 잘 발견이 되는 곰팡이이며 식물이나 과일 혹은 야채에서도 발견되어 예전에는 농사일을 하는 사람들에게서 진균 각막 궤양이 많이 발병되었고 바이러스 각막 궤양의 원인에는 단순포진 바이러스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와 아데노바이러스 등이 있다. 진균 각막 궤양 최근에는 스테로이드제 점안 액의 사용으로 생기는 진균 각막 궤양도 비교적 많이 나타나는데 점안을 할 때 진균이 옮는 경우도 있고 림프샘 혹은 맥도를 통하여 다른 곳에 옮기도 하며 각막에 미말의 상처가 있는 경우에 감염이 되기도 하며 원인균은 칸디다와 푸사륨과 아스페르길루스와 페니실륨과 스포로트리쿰과 세팔로스로륨과 분아균 등이 있으며 푸사륨은 병의 전개가 빠른 편이고 증상은 보통 각막의 가.. 2022. 5.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