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으로 인하여 수정체를 없애고 적합한 굴절력을 가진 투명한 인공수정체를 본래의 위치나 그 근처에 삽입해 대체한다면 광학적으로 원상복구가 가능하다. 이런 장점으로 인하여 인공수정체의 안내 삽입술은 거의 대부분의 백내장 수술에서 진행된다.
인공수정체는 그 재질에 따라 연성재질과 경성 재질로 나뉘며 과거에는 경성 재질인 pmma 인공수정체가 대체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인공수정체를 접어서 눈 안에 넣을 수 있는 연성 재질의 인공수정체가 개발된 후에는 각막 절개창을 더 미세하게 만들 수 있게 되어서 연성 재질의 수요가 훨씬 많아졌다.
수정체를 없애고 인공수정체를 넣더라도 조절능력이 없기에 원거리와 근거리가 전부 또렷하게 보이지는 않는다. 즉 인공수정체의 도수가 원거리에 맞춰있다면 원거리는 잘 보이지만 근거리가 흐려 보이고 반대로 근거리에 맞춰져 있으면 원거리는 흐려 보이기에 백내장 수술로 인공수정체를 넣은 경우에도 안경이 필요할 수 있다. 최근에는 근거리와 원거리를 전부 잘 볼 수 있는 다초점 인공수정체와 조절형 인공 수정체가 이용된다. 다초점 인공 수정체는 굴절 다초점 인공수정체와 회절 다초점 인공수정체로 분류된다. 광학적으로 더 선명한 상을 보기 위해 비구면 인공수정체도 있다. 다초점 인공 수정체는 전반적인 상의 밝기는 떨어지며 눈부심 등의 부작용이 많이 개정되어 사용이 많이 늘어났다. 그 외에도 난시 교정을 위한 인공수정체도 있으며 특수한 디자인을 채택하거나 수정체 주머니에 넣어 조절을 할 수 있는 인공 수정체도 개발 중이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굴절교정수술의 방법 (0) | 2023.02.07 |
---|---|
굴절교정수술 (0) | 2022.08.10 |
굴절이상-원시 (0) | 2022.07.13 |
콘택트렌즈 사용 (0) | 2022.07.06 |
안경 처방과 교정 방법 (1) | 2022.07.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