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안과 안구 굴절 검사

by 도꾸9 2022. 6. 30.
반응형

출처 pixabay

안구의 굴절 상태를 확인하는 검사에는 여러 방법이 있는데 오직 증상만으로 판별하는 것은 매우 쉽지 않은 일이며 연령과 직업에 따라 요구되는 시력이 다르기에 증상의 개개인 차이가 있다. 대게 연령이 많은 노인이 바늘에 실을 넣을 때 돋보기안경을 이용하지 않을 정도로 시력이 아주 좋았다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2~-3 D 이상의 근시가 있다고 예상할 수 있으며 굴절 부등인 상황에는 한 안구의 시력이 정상 범위라면 시력검사를 시행하기 전까지는 겉으로 보았을 때 문제가 없거나 증상도 못 느낄 수 있다. 굴절검사를 하기 위한 조절 마비제를 이용할 때는 투여 후에 나타날 수 있는 합병증을 대비해야 하며 보통 굴절검사는 시력검사와 안구 앞쪽 혹은 망막 검사 뒤에 시력 문제의 원인이 굴절이상에 의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타각적 굴절검사로 굴절이상을 확인한 후 자각적 검사로 시력을 교정해서 검사한다.

 

시력검사 - 시력검사를 통해 근거리와 원거리의 시력을 검사하여 비정시의 정도와 종류를 알아볼 수 있으며 원거리 시력이 1.0이 넘으면 근시가 없는 것으로 보며 만약에 원거리 시력이 1.0이지만 근거리 시력이 좋지 않으면 노안이거나 원시이며 원거리 시력이 1.0보다 낮는데 근거리 시력은 정상 범위이면 근시이다. 굴절 이상으로 생긴 시력 문제는 핀홀을 통하여 볼 때 어느 정도 나아지지만 시력이 아예 개선되지 않는다면 시력 문제에 어떠한 기질적인 원인이 있는지 확인해 보아야 한다. 

 

망막 검영 검사 - 망막 검영 검사는 굴절이상을 제일 확실하게 검사할 수 있는 검사이며 이 검사를 진행할 때는 어두운 곳에서 진행하며 조절이 개입되지 않도록 5m 이상 거리를 둔 불빛을 보게 하며 망막 검영기에서 나오는 불빛이 환자의 안구로 들어가 망막에서 반사되면 동공을 통하여 검사자가 관찰할 수 있게 되며 이 광선이 다시 검사자의 안구로 들어와 초점을 맺을 수 있게 환자의 안구 앞에 렌즈를 두고 중화된 렌즈의 도수에 따라 환자의 안구 굴절이상을 확인한다.

 

조절 마비 굴절 검사 - 굴절 검사는 조절이 확실히 이완된 상황에서 원거리 굴절이상을 확인하는 것이며 조절을 하면 안구의 굴절력을 14~15D까지 높일 수 있으므로 조절 마비제를 넣은 후 검사를 진행하면 조절의 반영 없이 굴절이상을 확인할 수 있고 조절 마비제를 넣지 않고 검사한 것을 현성 굴절 검사라 하며 조절마비제를 넣은 후 조절의 영향을 아예 없앤 상황에서 굴절이상을 확인하는 것을 조절마비 굴절검사라 한다. 현성 굴절 검사를 진행한 후 그 결과치가 일정하지 못하거나 의심이 되는 경우에 조절마비 굴절 검사를 진행하며 두 결과의 수치가 큰 격차가 없으면 처음 진행한 현성 굴절 검사를 기반으로 안경을 맞추지만 격차가 많아서 처방하기 힘든 경우에는 조절마비제의 약기운이 없어진 후에 다시 진행한 조절마비 후 굴절검사를 기준으로 처방한다. 조절마비 굴절검사의 적응증은 어린이나 사시가 있는 사람이나 조절이 항진되어 있는  사람이나 안구 속의 혼탁에 의해 망막 검영법이 진행하기 힘든 경우나 검영법 소견과 자각적 검사에 차이가 많은 경우 등이며 약이 작용되는 시간은 약마다 다르기 때문에 목적에 맞도록 투여해야 하며 조절 마비제를 넣은 후 고 연령 층에서 간혹 급성 녹내장이 나타날 수 있으며 어린이는 아트로핀으로 인하여 발열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할 때 주의를 해야 한다.

 

자동굴절검사-이것은 환자가 기계 안의 그림을 보고 있으면 저절로 빠르게 굴절력을 측정하는 방법이며 간편하고 빠르게 검사가 되어 편리하지만 기계 안을 볼 때 조절이 개입되므로 소아의 경우에는 근시인 것처럼 보일 수 있고 성인의 경우에는 난시축이 정확하지 않게 나오는 등 정확성이 다소 좋지 않은 면이 있으며 최근의 기계들은 장치들을 이용해 오차를 많이 줄이도록 하고 있다.

 

각막 곡률 측정법은 각막의 가운데에서 3mm 지름 부분에 부합하는 표면의 곡률 반경을 측정하여 각막의 굴절력을 확인하는 방법이며 콘택트렌즈를 처방하거나 백내장 수술을 진행하면서 인공 수정체를 넣을 때 렌즈의 도수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택트렌즈 사용  (0) 2022.07.06
안경 처방과 교정 방법  (1) 2022.07.01
수정체 없음증과 굴절 부등  (0) 2022.06.29
난시의 종류와 증상  (5) 2022.06.28
근시와 원시  (0) 2022.06.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