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난시의 종류와 증상

by 도꾸9 2022. 6. 28.
반응형

출처 pixabay

안구의 굴절력이 모든 방향에서 똑같지 않아 안구로 들어오는 빛이 한 점에서 맺히지 못하고 두 지점이나 그 이상의 초점을 가지는 것을 난시라 한다.

 

규칙 난시는 최솟값의 굴절력이 있는 경선과 최댓값의 굴절력이 있는 경선이 서로 수직을 이루는 경우이며 최소 굴절력이 있는 경선이 난시의 축 방향이 되며 규칙 난시는 생리적으로 정상적인 안구에도 경도로 생길 수 있고 위 눈꺼풀이 처져 있거나 각막이나 공막의 수술을 한 경우에도 생길 수 있다.

불규칙 난시는 각막이 세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만곡을 가지는 상황이며 각막에 흉터가 있거나 원추각막인 경우에 관찰된다.

단순 난시는 한쪽 경선은 정시로 망막의 면에 초점이 맺히고 다른 쪽 경선은 망막의 면에 초점이 맺히지 않는 상황을 말하며 단순 원시 난시와 단순 근시 난시가 있다.

복합난시는 두 경선이 전부 원시나 근시로 전부 망막의 면에 초점을 맺지 못하는 상황이며 복합 원시 난시와 복합 근시 난시가 있다.

혼합 난시는 한 경선은 원시이고 다른 쪽 경선은 근시이며 직 난시는 굴절력이 가장 높은 주 경선이 수직방향으로 있는 것이고 도난시는 반대로 굴절력이 최대인 주 경선이 수평방향으로 있는 것이다. 

난시의 증상은 경도인 원시 난시는 특별한 증상이 보이지 않는 편이 많지만 그 외의 난시는 조절 눈 피로감을 보이며 난시의 정도가 과할 때보다 약할 때 오히려 조절 눈 피로가 더 심하게 나타난다. 원거리 혹은 근거리 시력 문제가 있으며 난시 시표를 주시하면 한 방향의 선은 진하게 보이고 그와 수직방향인 선은 연하게 보이며 근시인 사람처럼 눈을 가늘게 뜨고 보려는 경향이 있다.

치료는 증상이 느껴지면 원주 렌즈를 사용해 교정을 진행하며 우선 원시나 근시가 있는 경우에는 구면렌즈를 사용해 교정을 하고 원주 렌즈로 교정을 하며 불규칙 난시인 경우는 하드 콘택트렌즈를 이용하고 교정이 힘든 원추각막은 각막이식 수술을 진행하기도 한다.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과 안구 굴절 검사  (0) 2022.06.30
수정체 없음증과 굴절 부등  (0) 2022.06.29
근시와 원시  (0) 2022.06.27
눈의 조절과 노안  (1) 2022.06.27
눈의 굴절 상태  (3) 2022.06.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