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62 안과 안구 굴절 검사 안구의 굴절 상태를 확인하는 검사에는 여러 방법이 있는데 오직 증상만으로 판별하는 것은 매우 쉽지 않은 일이며 연령과 직업에 따라 요구되는 시력이 다르기에 증상의 개개인 차이가 있다. 대게 연령이 많은 노인이 바늘에 실을 넣을 때 돋보기안경을 이용하지 않을 정도로 시력이 아주 좋았다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2~-3 D 이상의 근시가 있다고 예상할 수 있으며 굴절 부등인 상황에는 한 안구의 시력이 정상 범위라면 시력검사를 시행하기 전까지는 겉으로 보았을 때 문제가 없거나 증상도 못 느낄 수 있다. 굴절검사를 하기 위한 조절 마비제를 이용할 때는 투여 후에 나타날 수 있는 합병증을 대비해야 하며 보통 굴절검사는 시력검사와 안구 앞쪽 혹은 망막 검사 뒤에 시력 문제의 원인이 굴절이상에 의한 것인지를 확.. 2022. 6. 30. 수정체 없음증과 굴절 부등 수정체 없음증이란 수술로 인해 수정체를 없애거나 편위 때문에 수정체가 시축 안에 없는 것을 말한다. 과한 원시와 조절력의 무기력으로 근거리와 원거리의 시력이 매우 저하되는데 수정체 없음증이 되기 이전의 상황이 고도 근시인 환자에게는 굴절이상이 크게 남지 않으며 치료는 인공수정체를 넣는 수술을 진행하며 적응 대상이 되지 않는 사람은 볼록렌즈를 이용해 교정을 진행하거나 콘택트렌즈를 이용하게 하며 안경을 이용해 교정할 상황에는 상이 25~33% 정도 커지기 때문에 만약에 반대쪽 안구가 정상적이라면 부등 상시 증상이 나타나므로 안경을 사용할 수 없다. 콘택트렌즈를 이용할 경우 상의 커짐이 10%이고 인공 수정체는 2% 이하로 줄어든다. 굴절 부등은 주로 짝눈이라고 불리는데 임상에서는 양 안구의 굴절력이 2D 이.. 2022. 6. 29. 난시의 종류와 증상 안구의 굴절력이 모든 방향에서 똑같지 않아 안구로 들어오는 빛이 한 점에서 맺히지 못하고 두 지점이나 그 이상의 초점을 가지는 것을 난시라 한다. 규칙 난시는 최솟값의 굴절력이 있는 경선과 최댓값의 굴절력이 있는 경선이 서로 수직을 이루는 경우이며 최소 굴절력이 있는 경선이 난시의 축 방향이 되며 규칙 난시는 생리적으로 정상적인 안구에도 경도로 생길 수 있고 위 눈꺼풀이 처져 있거나 각막이나 공막의 수술을 한 경우에도 생길 수 있다. 불규칙 난시는 각막이 세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만곡을 가지는 상황이며 각막에 흉터가 있거나 원추각막인 경우에 관찰된다. 단순 난시는 한쪽 경선은 정시로 망막의 면에 초점이 맺히고 다른 쪽 경선은 망막의 면에 초점이 맺히지 않는 상황을 말하며 단순 원시 난시와 단순 근시 난시.. 2022. 6. 28. 근시와 원시 안구의 굴절이상은 수정체와 각막의 굴절력과 안축 길이의 불균형으로 인해 생기며 안축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면 축성 비정시라 부르고 굴절력의 감소나 증가로 인한 것은 굴절성 비정시라 부른다. 원시는 조절을 하지 않은 상황에서 안구로 들어오는 빛이 굴절되어 망막 뒤쪽에 초점을 맺는 것으로 축성 원시와 굴절성 원시가 있으며 약한 정도의 원시는 조절력이 충분할 때는 딱히 자각 증상이 없으며 시력장애가 없는 상황이 많은데 원시가 지나치게 되면 원거리를 볼 때 원시를 보상하기 위하여 굴절력을 올리려고 조절이 높아지고 근거리를 볼 때는 조절력이 더 높아져서 조절 눈 피로의 증상인 눈의 통증이나 두통이나 시력저하나 충혈이나 건조함이나 열감이나 눈물 흘림이 나타나고 과한 조절로 인하여 눈 모음이 많아지면 내 사위 혹은.. 2022. 6. 27. 눈의 조절과 노안 무한한 지점이 아닌 근접한 지점의 사물을 볼 때 망막에 상을 맺히게 하여 또렷하게 볼 수 있게 하는 것을 눈의 조절이라 부른다. 원거리를 보다가 조금 더 가까이 있는 물체를 보기 위해서는 안구의 굴절력에 변동이 있어야 하는데 안축장과 각막이 변할 수는 없기에 수정체의 굴절력을 높임으로써 근접한 물체를 보게 되는데 이것을 조절이라 부르며 조절 자극은 망막에 흐리게 맺힌 상으로부터 일어나게 되며 이 자극으로 뇌에서 눈 돌림 신경의 짧은 섬모체 신경 분지를 통하여 섬모체 근육이 수축되면 수정체와 이어져있는 섬모체 소대가 이완되고 수정체 전낭의 탄력성에 의해 수정체의 중심 부분이 볼록하게 두꺼워지며 굴절력은 높아진다. 조절을 최대한으로 하였을 때 물체를 또렷하게 볼 수 있는 안구에서 제일 가까운 거리의 점을 근.. 2022. 6. 27. 눈의 굴절 상태 안구는 광학적으로 공통적인 축을 지닌 다수의 렌즈 합성체로 여겨지며 안구의 굴절 상태는 각 구면의 곡률 반경과 안축 길이와 매체 간의 굴절률 차로 만들어진다. 안구로 들어가는 광선은 각막과 눈물층에서 꺾여 방수를 지나가고 수정체에서 또 꺾여 굴절되고 그 후 유리체를 지나간 뒤 카메라의 필름과 비슷한 역할인 망막에 상을 맺으며 각막의 굴절력은 약 43 디옵터이고 안구의 중요한 굴절면을 이루고 초점 거리가 픽스되어 있는데 수정체에는 조절 기능이 있기에 굽은 상태와 두께가 변해서 원거리와 근거리의 물체를 보게 하며 젊은이에게서 수정체의 굴절력은 19~33D로 매번 바뀔 수 있으며 안구 굴절력은 대게 수정체의 굴절력과 각막과 안축 길이에 의해 정해진다. 조절을 하지 않고 6미터 이상의 사물에서 온 평행 광선이 .. 2022. 6. 25. 이전 1 2 3 4 5 6 7 ··· 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