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여름철 건강의 적, 냉방병 제대로 알기

by 도꾸9 2025. 8. 30.
반응형
출처 pixabay

한여름 무더위를 피할 수 있는 가장 큰 무기는 에어컨이다. 하지만 에어컨을 오래 사용하다 보면 오히려 건강에 적신호가 켜지기도 한다. 흔히 '냉방병'이라 불리는 이 증상은 단순 감기가 아니라 실내외 기온 차와 인체의 자율신경 불균형에서 비롯되는 여름철 특유의 질환으로 직장인이나 학생처럼 종일 냉방기 아래 있는 사람에게 자주 발생한다.

냉방병의 흔한 증상

 

  • 두통, 어지러움: 체온 조절이 잘 안 되면서 머리가 무겁거나 어지러운 느낌이 든다.
  • 무기력감: 아무리 쉬어도 몸이 개운하지 않고, 쉽게 피곤하다.
  • 소화불량: 위장 운동이 느려져 속이 더부룩하거나 설사를 하기도 한다.
  • 감기 유사 증상: 목 통증, 콧물, 기침 등이 동반될 수 있다.
  • 손발 냉증: 체온이 떨어지면서 손발이 차가워지는 경우가 많다.
  • 수면 장애: 쉽게 잠들지 못하거나 숙면을 방해받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을 방치하면 면역력이 약해지고, 실제 감기가 기관지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냉방병을 예방하는 생활 습관

 
냉방병은 특별한 약보다는 생활습관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장 좋다.
 

  • 실내온도는 24-26도: 외부와 온도차가 5도 이상 나지 않게 한다.
  • 직접 바람 피하기: 에어컨 바람은 벽이나 천장을 향하도록 조절한다.
  • 정기적인 환기: 2-3시간마다 창문을 열어 신선한 공기를 순환시킨다.
  • 충분한 수분섭취: 건조한 냉방 환경에서는 물을 자주 마셔야 한다.
  • 가벼운 스트레칭: 몸을 움직여 혈액순환을 돕는 것이 중요하다.
  • 얇은 겉옷 준비: 냉방이 강한 장소에서는 체온 보호가 필요하다.
  •  
냉방병 완화 및 치료 방법

 

  • 실내외 온도 맞추기: 너무 차갑게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는다.
  • 따듯한 음식 먹기: 찬 음식은 줄이고, 국물 요리 등 따듯한 음식을 먹는다.
  • 충분한 수면: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푹 쉬어야 한다.
  • 온찜질: 찜질이나 반신욕 등으로 몸의 순환을 도와 증상을 완화시킨다.
  • 전문의 상담: 증상이 길어지면 병원을 찾아 정확한 치료를 받는다.

에어컨은 여름철 필수이지만, 사용 습관에 따라 건강을 해칠 수 있으므로 냉방병을 예방하려면 적절한 온도 조절과 환기, 수분 섭취 등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