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0

눈의 조절과 노안 무한한 지점이 아닌 근접한 지점의 사물을 볼 때 망막에 상을 맺히게 하여 또렷하게 볼 수 있게 하는 것을 눈의 조절이라 부른다. 원거리를 보다가 조금 더 가까이 있는 물체를 보기 위해서는 안구의 굴절력에 변동이 있어야 하는데 안축장과 각막이 변할 수는 없기에 수정체의 굴절력을 높임으로써 근접한 물체를 보게 되는데 이것을 조절이라 부르며 조절 자극은 망막에 흐리게 맺힌 상으로부터 일어나게 되며 이 자극으로 뇌에서 눈 돌림 신경의 짧은 섬모체 신경 분지를 통하여 섬모체 근육이 수축되면 수정체와 이어져있는 섬모체 소대가 이완되고 수정체 전낭의 탄력성에 의해 수정체의 중심 부분이 볼록하게 두꺼워지며 굴절력은 높아진다. 조절을 최대한으로 하였을 때 물체를 또렷하게 볼 수 있는 안구에서 제일 가까운 거리의 점을 근.. 2022. 6. 27.
눈의 굴절 상태 안구는 광학적으로 공통적인 축을 지닌 다수의 렌즈 합성체로 여겨지며 안구의 굴절 상태는 각 구면의 곡률 반경과 안축 길이와 매체 간의 굴절률 차로 만들어진다. 안구로 들어가는 광선은 각막과 눈물층에서 꺾여 방수를 지나가고 수정체에서 또 꺾여 굴절되고 그 후 유리체를 지나간 뒤 카메라의 필름과 비슷한 역할인 망막에 상을 맺으며 각막의 굴절력은 약 43 디옵터이고 안구의 중요한 굴절면을 이루고 초점 거리가 픽스되어 있는데 수정체에는 조절 기능이 있기에 굽은 상태와 두께가 변해서 원거리와 근거리의 물체를 보게 하며 젊은이에게서 수정체의 굴절력은 19~33D로 매번 바뀔 수 있으며 안구 굴절력은 대게 수정체의 굴절력과 각막과 안축 길이에 의해 정해진다. 조절을 하지 않고 6미터 이상의 사물에서 온 평행 광선이 .. 2022. 6. 25.
폐쇄각 녹내장 주변 부분의 홍채와 섬유주가 접해서 앞방 각이 막혀 폐쇄각 녹내장이 생기며 간혹 영구적으로 시력을 잃게 되지만 개방각 녹내장과는 다르게 특징적인 증상이 있는 경우가 많다. 폐쇄각 녹내장의 원인은 가족력이 영향을 미치며 해부학적으로 전방이 얕은 안구나 원시의 안구에서 나타나기 쉬우며 연령이 높아지면 수정체가 두꺼워져 전방 쪽으로 밀리게 되며 홍채의 뿌리의 탄성이 적어져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며 서양에 비해서 동양인에게 발병률이 높으며 50~60대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으며 동공 차단으로 인해 뒷방의 압력이 급격히 올라가 유발된다. 발생기전에는 상대적 동공 차단과 수정체의 변화가 있는데 상대적 동공 차단은 동공의 가장자리와 수정체의 앞쪽 면이 접하여 동공을 통한 방수의 움직임에 장애가 생기는 것이며 이로 인해.. 2022. 6. 24.
개방각 녹내장 원발성으로 오는 개방각 녹내장은 특성 있는 녹내장성 시신경 파손과 시야 결손과 안압의 올라감이 있고 앞방 각은 열려있고 전신적인 문제나 선행 눈 질병이 없는 경우를 이른다. 원발성 개방각 녹내장은 초반에는 스스로 느껴지는 증상이 거의 없으므로 환자가 스스로 증상을 인지하여 안과에 갔을 때는 이미 매우 진행이 된 상황이 많아서 초반에 진단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발생기전은 섬유주의 변화와 방수 유출로의 과한 저항과 섬유주 각 경의 막힘과 쉴렘관의 변화와 방수 정맥을 내포한 상공막 안 방수 유출로의 방해가 많아져 안압이 올라가는 것으로 보인다. 증상은 후반까지 시력 문제를 내포한 자각 증상이 거의 보이지 않으므로 뒤늦게 찾아내지는 상황이 많으며 대부분 장년기 이상에서 나타나며 안압 상승을 관찰하기 위하여 골드.. 2022. 6.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