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2

난시의 종류와 증상 안구의 굴절력이 모든 방향에서 똑같지 않아 안구로 들어오는 빛이 한 점에서 맺히지 못하고 두 지점이나 그 이상의 초점을 가지는 것을 난시라 한다. 규칙 난시는 최솟값의 굴절력이 있는 경선과 최댓값의 굴절력이 있는 경선이 서로 수직을 이루는 경우이며 최소 굴절력이 있는 경선이 난시의 축 방향이 되며 규칙 난시는 생리적으로 정상적인 안구에도 경도로 생길 수 있고 위 눈꺼풀이 처져 있거나 각막이나 공막의 수술을 한 경우에도 생길 수 있다. 불규칙 난시는 각막이 세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만곡을 가지는 상황이며 각막에 흉터가 있거나 원추각막인 경우에 관찰된다. 단순 난시는 한쪽 경선은 정시로 망막의 면에 초점이 맺히고 다른 쪽 경선은 망막의 면에 초점이 맺히지 않는 상황을 말하며 단순 원시 난시와 단순 근시 난시.. 2022. 6. 28.
근시와 원시 안구의 굴절이상은 수정체와 각막의 굴절력과 안축 길이의 불균형으로 인해 생기며 안축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면 축성 비정시라 부르고 굴절력의 감소나 증가로 인한 것은 굴절성 비정시라 부른다. 원시는 조절을 하지 않은 상황에서 안구로 들어오는 빛이 굴절되어 망막 뒤쪽에 초점을 맺는 것으로 축성 원시와 굴절성 원시가 있으며 약한 정도의 원시는 조절력이 충분할 때는 딱히 자각 증상이 없으며 시력장애가 없는 상황이 많은데 원시가 지나치게 되면 원거리를 볼 때 원시를 보상하기 위하여 굴절력을 올리려고 조절이 높아지고 근거리를 볼 때는 조절력이 더 높아져서 조절 눈 피로의 증상인 눈의 통증이나 두통이나 시력저하나 충혈이나 건조함이나 열감이나 눈물 흘림이 나타나고 과한 조절로 인하여 눈 모음이 많아지면 내 사위 혹은.. 2022. 6. 27.
눈의 조절과 노안 무한한 지점이 아닌 근접한 지점의 사물을 볼 때 망막에 상을 맺히게 하여 또렷하게 볼 수 있게 하는 것을 눈의 조절이라 부른다. 원거리를 보다가 조금 더 가까이 있는 물체를 보기 위해서는 안구의 굴절력에 변동이 있어야 하는데 안축장과 각막이 변할 수는 없기에 수정체의 굴절력을 높임으로써 근접한 물체를 보게 되는데 이것을 조절이라 부르며 조절 자극은 망막에 흐리게 맺힌 상으로부터 일어나게 되며 이 자극으로 뇌에서 눈 돌림 신경의 짧은 섬모체 신경 분지를 통하여 섬모체 근육이 수축되면 수정체와 이어져있는 섬모체 소대가 이완되고 수정체 전낭의 탄력성에 의해 수정체의 중심 부분이 볼록하게 두꺼워지며 굴절력은 높아진다. 조절을 최대한으로 하였을 때 물체를 또렷하게 볼 수 있는 안구에서 제일 가까운 거리의 점을 근.. 2022. 6. 27.
눈의 굴절 상태 안구는 광학적으로 공통적인 축을 지닌 다수의 렌즈 합성체로 여겨지며 안구의 굴절 상태는 각 구면의 곡률 반경과 안축 길이와 매체 간의 굴절률 차로 만들어진다. 안구로 들어가는 광선은 각막과 눈물층에서 꺾여 방수를 지나가고 수정체에서 또 꺾여 굴절되고 그 후 유리체를 지나간 뒤 카메라의 필름과 비슷한 역할인 망막에 상을 맺으며 각막의 굴절력은 약 43 디옵터이고 안구의 중요한 굴절면을 이루고 초점 거리가 픽스되어 있는데 수정체에는 조절 기능이 있기에 굽은 상태와 두께가 변해서 원거리와 근거리의 물체를 보게 하며 젊은이에게서 수정체의 굴절력은 19~33D로 매번 바뀔 수 있으며 안구 굴절력은 대게 수정체의 굴절력과 각막과 안축 길이에 의해 정해진다. 조절을 하지 않고 6미터 이상의 사물에서 온 평행 광선이 .. 2022. 6. 25.
반응형